본문 바로가기
728x90

삶의지혜57

[하.루.깊.지] 올해 80일 남은 지금, 우리가 알야야 할 트렌드코리아2025 2025년, 을사년(乙巳年) 청사(푸른 뱀)의 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80일 남은 올해를 잘 마무리하고 새해를 준비할 시기입니다. 특히 한 해의 트렌드를 예측하며 그 흐름을 따라가는 것은 곧 삶의 방향을 가늠하는 일이기도 하죠. 김난도 교수팀이 발간하는 ‘트렌드 코리아’는 늘 새로운 관점에서 시대의 변화를 제시해 왔습니다. 이제 곧 도래할 2025년은 우리 삶을 더욱 의미 있게 변화시키는 요소들로 가득 찰 것입니다. 1. 옴니보어 (Savoring a Bit of Everything) 모든 전제 조건이 원점으로 돌아가는 시대, ‘옴니보어’는 나이, 성별, 소득, 인종 등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경험을 즐기려는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한때 특정 세대에 국한됐던 K-POP이 이제는 전 세계의 모든 연령층을 아.. 2024. 10. 12.
[빛 한 줄기] 한동안 혼자 있어보세요 인간은 복잡한 세상 속에서 끊임없는 자극을 받습니다. 매일같이 스마트폰 알림, 사회적 요청, 업무 스트레스에 둘러싸여 살다 보면, 내면의 목소리는 점점 멀어지고 자신을 깊이 들여다보는 시간을 놓치게 됩니다. 그러나 진정한 성장은 고독의 순간에서 시작됩니다. “나는 인간의 모든 불행은 단 한 가지 사실, 즉 그가 방안에 조용히 머물러 있을 줄 모른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고 종종 말하곤 했다”라는 프루스트의 통찰이 이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혼자만의 시간을 통해 우리는 자기 성찰과 내면의 평화를 찾을 수 있습니다.혼자 있는 시간을 통한 성장의 힘 혼자 있는 시간은 단순한 고립이 아니라, 자신을 만나는 여정입니다. 이 시간은 일종의 ‘내면의 거울’이 되어 우리에게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게 합니다. 미국의 철학자 헨.. 2024. 10. 9.
[하.루.깊.지] 2024 노벨 물리학상, 인공지능의 지평을 넓히다 인공지능의 기초를 다진 두 과학자: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튼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길을 연 두 거장, 존 홉필드와 제프리 힌튼에게 돌아갔습니다. 이들의 연구는 인공 신경망의 뿌리를 세우고, 다양한 과학 분야에 걸쳐 연구를 촉진하는 주춧돌 역할을 해왔습니다. 물리학을 넘어 재료 과학과 천체 물리학까지 그 영향이 넓게 미친 것은 그들의 업적이 얼마나 깊고 광범위한지를 보여줍니다. 이들이 구축한 인공 신경망은 마치 인간의 기억을 닮았습니다. 신경망의 뉴런은 우리의 두뇌처럼 과거의 경험을 학습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쓰이죠. 이들 덕분에 오늘날 우리는 자율 주행차, 음성 인식, 의료 진단 등에서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세계 노벨 물리학상 수상 현황: 과학의 요람이 된 미국.. 2024. 10. 9.
[하.루.깊.지] 24절기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어제는 10월 8일로 24절기 중 ‘한로’였습니다.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해, 여름의 흔적이 완전히 가시고 가을의 깊이를 더해 가는 때입니다. 이처럼 한로를 포함한 24절기는 한국의 계절 변화를 담아내는 작은 자연의 연대기와도 같습니다. 이 절기들은 일종의 자연의 리듬으로, 인간과 자연이 함께 호흡하는 삶을 가능하게 합니다. 24절기의 유래와 중요성 24절기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에 전해진, 계절 변화의 세심한 기록입니다. 태양이 지구를 도는 각도를 기준으로 절기를 나눔으로써 그 시기마다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농사에 맞춰 대처할 수 있게 했습니다. 예를 들어 봄을 알리는 입춘, 더위가 시작되는 하지, 추위를 느끼는 입동 등 각각의 절기는 마치 시계의 침처럼 사계절의 흐름을 분명하게 지시해줍니.. 2024. 10. 9.
[하.루.깊.지] 제578돌 한글날 기념, 간판과 광고 속 한글 사용을 돌아보다 한글날은 우리 민족이 자랑스러워하는 한글의 창제를 기념하는 날로,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모든 백성들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글자를 기리기 위해 매년 10월 9일을 기념합니다. 이 날은 1926년에 ‘가갸날’로 처음 제정되었으며, 후에 ‘한글날’로 명칭이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1991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가,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로 지정되며 한글의 중요성이 재조명되었습니다.한글의 우수성과 의미 한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 연대와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문자로, 그 과학성과 체계성은 언어학적으로도 높이 평가받고 있습니다. 자음과 모음은 사람의 발음 기관을 형상화하여 만들어졌으며, 소리와 문자가 일대일 대응을 이루어 쉽게 익히고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우.. 2024. 10. 9.
[하.루.깊.지] 단풍 시기 및 전국 명소, 단풍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선선한 바람이 부는 요즘, 외출하여 산책할 맛이 나는 시기입니다. 가을을 만끽하기 위해 지금부터 단풍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오늘은 단풍이 드는 원리부터 시작하여 단풍 시기, 전국 명소에 대해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단풍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단풍이 드는 원리 단풍이 드는 원리는 나무가 겨울을 준비하는 생존 전략에서 비롯됩니다. 가을이 오면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기온이 내려가면서 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나무는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잎의 색소 성분을 분해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사랑하는 단풍이 물들게 됩니다.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엽록소의 감소입니다. 엽록소는 잎을 녹색으로 보이게.. 2024. 10. 8.
728x90